여러종류의 민속문화(8)
-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전경] 지난번 2020년 쥐띠해를 맞이하여 달성군청내 갤러리에서 '십이쥐 展'을 개최하였다기에 들렸다가 함께 담아 온 달성군청 정원 뜰의 여러종류의 24기의 송덕비군을 담아와서는 이때껏 소개가 미루어졌습니다. 오늘은 그때 못해드린 달성군쳥 내 송덕비군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혹 '십이쥐 展'을 함께하시지 못하신 이웃님들이 계신다면 요기 클릭하셔서 둘러보셔요.^^ [碑身案內文碑(비신안내문비) 전경] [碑身案內文(비신안내문) 내용]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전경]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안내판] 이 비석들은 본래 현풍면 성하리에 소재한 달성군민체육관 옆에 있..
2020.02.10 -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6-11 충북 유형문화재 제142호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와 雙梧碑閣(쌍오비각) 전경]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1569∼1626)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雙梧碑閣(쌍오비각) 현판]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와 雙梧碑閣(쌍오비각)] 본관 慶州(경주). 자 養久(양구), 호 碧梧(벽오)이다. 선조 2년(1569) 충청북도 오창면 오근리(지금의 장대리)에서 梧村(오촌) 李大建(이대건)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자의 호에 똑같이 梧(오) 자가 들어 있는 것은 그들이 살던 梧根里(와 근리)와의 연고 때문이라 한다. [神道碑(신도비)와 雙梧碑閣(..
2018.04.28 -
상동 청동기시대 집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상동 청동기시대 집터 전경] 고인돌과 돌널을 둘러 본 후 앞쪽 오솔길 건너편에 자리하고 있는 상동 청동기시대 집터를 둘러보기 위해 갔습니다.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글 영어, 일어, 한문 내용] [상동 유적] [집터] [집터 내 유물 출토] [골아가리토기] [집터] 바닥에서 목탄의 흔적이 확인되는데, 이것은 바닥에 깔았던 나무 판재나 멍석 등의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 출입구는 남동쪽 가장자리에서 확인되었고, 집자리 안에서 골아가리토기, 반달 모양 돌칼 등 토기편과 석기편이 발견되었다. [집터] 이 집터처럼 벽을 돌로 쌓은 모양의 집자리는 중국 요녕성 쌍타자 유적과 양두와 유적에서 조사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제주도 화순리 유적에서 확..
2018.03.22 -
요정 가미정(2층 가미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2동 좁고 가파른 계단으로 가미 전시관으로 올라가 보겠습니다. 계단을 올라 만난 첫 번째의 전시물 '말하는 꽃 妓生(기생) 이야기' 妓生(기생) : 전통사회에서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 춤 및 풍류로 참석자들의 흥을 돋우는 일을 업으로 삼았던 여자. 기생의 발생과 변천, 기생이란 누구인가 일제 치하 권번 제도와 기생의 수난 등 말하는 꽃 기생의 이야기로 벽면을 채워 두었다.. 대구요정의 어제와 오늘 대구의 최고 기생 '鸚鵡(앵무)' 등 흥미진진한 기생 이야기를 사진과 함께 쉽게 풀어 적어 놓았다. 국채보상운동을 이끈 대표 인물로 거론되는 이가 광문사 부사장을 지낸 독립운동가 서상돈(1850~1913)이다. 巨商(거상)이었던 그가 낸 성금 액수가 당시 집 한 채 값인 100원..
2017.10.13 -
대구 달성공원내 기념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294 달성공원 [達城徐氏(달성서씨) 遺墟碑(유허비) 전경] 達城徐氏(달성서씨) 시조 서진은 고려 때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등을 역임하였고, 나라에 큰 공을 세워 達城君(달성군)에 봉해지고 달성(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食邑(식읍)으로 하사받아 世居(세거)하게 되었다. 비돌은 정읍에서 가져온 돌로 만들었다고 하며, 비석의 글씨는 달성서씨인 竹農(죽농) 徐東均(서동균)이 썼다. [達城徐氏(달성서씨) 遺墟碑(유허비)] 고려 중엽 이후 達城徐氏(달성서씨)가 대대로 살던 사유지였으나, 조선 世宗(세종) 때 徐氏(서씨) 일문이 헌납하여 국유로 귀속되었다. 1905년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67년 5월 대구시에서 새로운 종합공원 조성계획을 세워 현재의 대공원으..
2017.03.16 -
계산성당내 작은 공원(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0 [계산성당 내 작은 공원] 계산동본당은 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은 지난 1986년 성당 마당 한 켠에 자그마한 공원을 조성하면서 계산동성당을 지은 초대 주임 로베르(김보록) 신부의 흉상을 세웠다. [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전경] [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약력] 흉상 주변에는 옛 자료 사진들을 안내판에 새겨 놓았기에 올려봅니다. [로베르(김보록) 흉상 옆 향나무] 계산성당 한 곳에서도 이렇게 둘러볼 곳이 많다. 아직도 들려보지 못한곳이 있다. 날이 풀리는 가까운 날 다녀올까합니다. 그때 다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17.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