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1)
-
사진엽서로 떠나는 대구 근대 여행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3 [대구 근대역사관 전경] [대구 근대역사관 출입구 전경] 근대 관광의 시작 조선에서 '觀光(관광)'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생겨난 것은 1915년으로, 조선물산공진회 개최를 계기로 모집된 명승지유람단에서 비롯됐다. 총독부는 관람객 동원을 위해 각 도마다 협찬회를 조직토록 했다. 각 도의 협찬회가 관람단을 조직하기도 했고, 공진회에 오는 관람객의 숙소를 마련하거나 선박 기차 등을 알선하고 출품과 관람을 장려하였다. 일제의 본격적인 관광 부흥 정책과 관광지 개발, 철도 등 교통수단의 발전으로 관광은 확산되어 갔다. [2층 체험학습실] 1층에서 에리베이트 2층을 올라 내리면 곧장 만날 수 있는 체험학습실 [체험학습실] [대구 근대역사관 주변 관광지 안내도] [휴게실겸 중..
2019.01.18 -
수창공원 내 흔적 기둥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대구예술발전소에서 담은 앞쪽 수창공원 흔적 기둥 전경] [흔적기둥 전경] 중구 수창동에 소재한 수창공원은 1999년도 폐쇄된 KT&G대구공장부지에 일부공간을 활용한 근린공원으로 조성된 곳으로 과거 연초 제조창의 남겨진 기둥을 활용하여 대구의 역사흔적을 담은 역사적 공간과 인근 문화예술발전소와 연계하여 예술인들의 창작 및 전시, 공연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한 공간이라 합니다. [달구벌의 시간] [달구벌의 기둥 아랫쪽 안내도] [달구벌의 시간] [흔적 기둥 설명 글] [계산성당] [계산성당 설명 글] [대구읍성 설명 글] [약전골목] [약전골목 설명 글] [흔적 기둥] 순종황제 남순행] [달성공원] [달성공원 설명 글]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설명 ..
2018.04.11 -
옥산동 7호 토기가마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옥산동 7호 토기가마 복원 모형 전경] 안내도를 꼼꼼하게 살펴보지 못하였다면, 아마도 그냥 지나쳤을지도... 시공원을 찾다가 함께 둘러보게 되어 행운이라고나 할까요. [안내판 전경] [안내판 설명 글] 이 토기가마는 대구 욱수동. 경산 옥산동 유적에서 조사된 토기가마 중 1基(기)를 全寫移轉(전사이전)하여 복원 전시한 것이다. 이 유적에서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유구가 발굴되었는데, 이 중 토기가마는 산의 경사면에서 40 여기가 조사되었다. 토기가마는 대부분 삼국시대의 반지하식 굴가마(登窯. 등요)로, 당시의 토기 제작기술과 유통과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안내판 글 옮겨 적음) [안내판 안내글 한문과 일어] [경산 옥산동 7호 토기가마 복..
2018.03.23 -
武屹九曲(무흘구곡)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258 [회연서원 표석비와 무흘구국 안내도와 1곡 비 전경] 寒岡(한강) 鄭逑(정구)는 중국 송나라 朱熹(주희)의 사상을 유난히 흠모하여, 주희의 '武夷九曲(무이구곡)'을 본떠 자신만의 구곡을 설정하고 '武屹九曲(무흘구곡)'을 지었다. 무흘구곡은 성주에서 김천까지 걸쳐 있는 9곳의 절경을 읊은 7언 절구의 漢詩(한시)다. [무흘구곡 종합 안내도] 한강 정구는 1곡에서 9곡까지 이르는 과정을 단순히 아름다운 경관을 쫓아 온 것이 아니라, 도학의 근원을 찾기 위한 일종의 실천과정으로 삼았다. [무흘구곡 제1곡 봉비암 조형물] 한강 정구선생이 시를 지어 노래하고 즐겨하던 그 절경과 발자취를 1곡부터 9곡까지 碑(비)로 만들어 회연서원 앞쪽에 세워 두었다. 차례로 즐감해..
2017.11.14 -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간다라 유물관)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진내리 [간다라 유물관 현판] [간다라 유물관 전경] 간다라지역의 건축양식을 담아 하나하나 돌멩이로 쌓아올린 간다라유물관이다. [간다라 유물관 출입구] 그러나 이들 시설물이 학술적인 고증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어서 정체성에 약간의 문제는 있다. 그러나, 유물관에 전시된 유물이 기원후 2세기에서 6세기경 간다라 지방에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이런 문제점들을 훌륭하게 보완해주고 있다. [摩羅難陀(마라난타) 존자상] 유물관에 들어서면 3층의 낮은 기단 위에 등신대로 만들어진 백제에 최초로 불법을 전수한 '마라난타' 존자의 상이 자리하고 있다. 중앙의 로비를 지나 왼쪽 전시실로 들어가면, 먼저 '마라난타의 길'이라는 지도가 눈에 들어온다. 마라난타 스님은 위태롭고 험난한 땅을..
201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