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1)
-
청도 읍성과 형옥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상리 45-2 [청도 읍성 전경] 우쿨 여름방학 하기 전 야외수업으로 청도 유호연지 군자정으로 정하였지만, 미리 오신 어르신님들이 자리를 꽉 메워 연지에 핀 연꽃만 담고, 기념 촬영 후 2번째의 장소 꽃자리 옆 청도 읍성 아래쪽 쉼터(원두막)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날의 일정을 함께 해보시고 싶으시다면 우쿨렐레 야외수업 을 클릭해 보셔요.^^ [안내팻말] 야외 수업후 들릴 곳도 정해져 있었기에 시간이 촉박하여, 꽃자리를 건너뛰고 쉼터(원두막)으로 가는 길에 만난 안내팻말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석빙고와 향교에는 오래전 들렸기에 그런대로 통과할 수 있지만, 읍성과 동헌은 처음이라 건너 뛰기가 쉽진 않다. 그러나, 혼자가 아닌 일행과 함께 수업도 해야하고 다음의 일정을 다 ..
2019.08.12 -
尹殷輔(윤은보) 선생 신도비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산 33-1 의정부시향토유적 제2호 [海平尹氏掌令公領域(해평윤씨장령공영역) 碑(비)] [대통령 윤보선 참배기념비] [아래쪽 도로에서 담은 신도비각 전경] 尹殷輔(윤은보, 1468~1544) 조선전기 병조판서,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 海平(해평). 자 商卿(상경). 수원부사 尹處誠(윤처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承文院參校( 승문원참교) 尹沔(윤면). 아버지는 첨정 尹萱(윤훤). 어머니는 현감 金模(김모)의 딸이다. [입구쪽에서 담은 신도비각 전경] 성종 25년(1494)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史官(사관)에 선발되고, 이듬해 承文院檢校(승문원검교)로 춘추관기사관을 겸직, '成宗實錄(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연산군 3년(1497) 禮官(예관)으로..
2019.08.01 -
原州法泉寺址智光國師塔碑(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74-2 [법천사지] 답사가는 길에 지나치게 된 법천사지 터 우선 목적한 곳부터 들려야하기에 지나쳤다가 예정에는 없었지만, 다음 일정을 잠시 미루고 들렸습니다. 점심시간이 조금 지난 시간이여서인지 텅빈 법천사지 터는 적막이 감도는듯 하였지만, 가까운 곳에 주차를 한 후 법천사지 터를 둘러보았다. [법천사지] 이곳은 통일신라시대의 법천사 터이며, 2005년 8월 3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66호로 지정되었다. [지광국사현묘탑비로 오르는 길 전경] 멀리 범상찮아 보이는 비석이 보이기에 그곳을 향하여 걸음을 옮겼다. 무언지도 모르고 들렸는데, 가까이가서 안내판 글을 읽어보고야 알았습니다. [길옆 법천사지 옛 주춧돌과 석물 등] 法泉寺(법천사)는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법상..
2019.05.15 -
端宗妃(단종비) 定順王后(정순왕후) 태생지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동편마을 [端宗妃(단종비)정순왕후 태생지 와 송계성 遺墟碑閣(유허비각) 전경] 전라북도 정읍지역 답사하다가 우연히 찾아보게 된 端宗妃(단종비) 定順王后(정순왕후)께서 태어나신 태생지에 들리게 되었다 [端宗妃(단종비) 정순왕후 태생지 와 송계성 遺墟碑閣(유허비각)] 定順王后(정순왕후, 1440~1521) 조선 제6대 왕 단종의 正妃(정비). 본관 礪山(여산). 부사 宋繼性(송계성)의 증손녀이고, 知中樞院事(지중추원사) 復元(복원)의 손녀이며, 판돈녕부사 玹壽(현수)의 딸이다. 시호는 貞純(정순). 정순왕후는 판돈녕부사 송현수(여산송씨)의 따님으로 1440년 이 곳에서 태어나셔서 단종과 가례를 올리고 의덕왕대비에 봉해졌으나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자 夫人(부인)으로 ..
2019.04.03 -
신라 시조 왕비 탄강신화가 얽힌 閼英井알영정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67-1 [알영정, 오릉 안내팻말] 오릉은 둘러보았으니, 이젠 알영정을 소개하겠습니다. [알영정 가는 길 옆 대숲] 많은 분들이 오릉만 보고 바로 옆의 알영정과 숭덕정은 그냥 지나치곤 하는데, 아마 알영부인의 탄강신화에 대해 모르기 때문인거 같다. [작은 갈대숲] 오늘은 알영정 소개를 해 드리겠습니다. 알영정 가는 길 무리지어 피어 있는 갈대 그냥 지나칠 수 없어서 한컷 담았다. [알영정 안내팻말과 알영정 전경] 신라 시조 朴赫居世(박혁거세)의 왕비인 알영이 태어난 우물. [뒤쪽에서 담은 閼英井(알영정) 전경] 알영정에 관해서는 '三國史記(삼국사기)'에 박혁거세 5년 정월에 용이 알영정에 나타나서 오른쪽 갈빗대에서 계집아이 하나를 낳았다 한다. [안내판과 정면에서 담은 알..
2019.02.13 -
鮑石亭址(포석정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鮑石亭址(포석정지) 출입구 전경] 대한민국 사적 제1호인 포석정은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의 연회를 행하던 곳으로 신라 宮苑(궁원) 기술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최근엔 연회를 행하던 장소보다 의식이 행해졌던 곳이라는 설이 더 힘을 받고 있다. [안내판과 출입구 전경] [경주 포석정지 안내 글 내용] [경주 포석정지 안내도] [경주 포석정지 영문 중국어 안내 글 내용] [바깥 담에 붙어 있는 鮑石亭址(포석정지) 사진] [鮑石亭址(포석정지) 표석비] [출입구에서 담은 鮑石亭址(포석정지) 전경] 경주시 배동에 있는 신라의 별궁이 있던 자리에 건물은 없어지고 석조구조물만 남아 있다. [안쪽 담에 붙어 있는 鮑石亭址(포석정지) 사진] [鮑石亭址(포석정지) 주변 ..
2019.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