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6)
-
東岡(동강) 金宇顒(김우옹) 신도비와 묘역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산 32-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金宇顒(김우옹) 神道碑(신도비) 전경] 신도비와 묘소는 성주 대가면 옥화리에 자리하고 있다 [神道碑(신도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神道碑(신도비)] 거북이 형상을 한 비좌와 비신, 그리고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비두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질은 비좌와 비두가 화강석이고, 비신은 烏石(오석)이다. [우측 옆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비문은 갈암 이현일에 의해 숙종 15년(1689∼1704) 사이에 지어졌고, 글씨는 미수 허목의 사후 그 글씨를 집자하여 사용하였다. 이 신도비는 경종 3년(1723)에 세워졌다. [神道碑(신도비) 뒤 전경] 이 신도비는 그 주인공의 역사적 비중과 더불어, 비문 찬자..
2017.11.22 -
寒岡(한강) 鄭逑(정구)선생 묘역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금산리 산 57-17 [묘역 출입구와 안내판 전경] [묘역 안내문 글 내용] [묘역 입구쪽 노거수] 鄭逑(정구, 1543년 ~ 1620년) 자 道可(도가), 可父(가보). 호 寒岡(한강), 檜淵野人(회연야인). 본관 淸州(청주). 시호 文穆(문목)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다. [鄭瑋(정위) 墓(묘) 전경] 한강선생 묘역을 가려면, 맨 처음 만나는 묘소는 한강 정구의 9대손인 참봉 鄭瑋(정위) 墓(묘) [참봉 鄭瑋(정위) 墓(묘)와 묘비] [鄭昌址(정창지) 墓(묘)] 참봉 정위 묘를 지나면 나란히 앞뒤로 자리하고 있는 묘가 보인다. 앞쪽 묘와 묘비는 정구 선생의 증손인 鄭昌址(정창지) 墓(묘) 뒤쪽에 보이는..
2017.11.16 -
武屹九曲(무흘구곡)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258 [회연서원 표석비와 무흘구국 안내도와 1곡 비 전경] 寒岡(한강) 鄭逑(정구)는 중국 송나라 朱熹(주희)의 사상을 유난히 흠모하여, 주희의 '武夷九曲(무이구곡)'을 본떠 자신만의 구곡을 설정하고 '武屹九曲(무흘구곡)'을 지었다. 무흘구곡은 성주에서 김천까지 걸쳐 있는 9곳의 절경을 읊은 7언 절구의 漢詩(한시)다. [무흘구곡 종합 안내도] 한강 정구는 1곡에서 9곡까지 이르는 과정을 단순히 아름다운 경관을 쫓아 온 것이 아니라, 도학의 근원을 찾기 위한 일종의 실천과정으로 삼았다. [무흘구곡 제1곡 봉비암 조형물] 한강 정구선생이 시를 지어 노래하고 즐겨하던 그 절경과 발자취를 1곡부터 9곡까지 碑(비)로 만들어 회연서원 앞쪽에 세워 두었다. 차례로 즐감해..
2017.11.14 -
성주 별고을 운동장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흥리 병원다녀온 일도 결과가 좋고, 몸의 컨디션도 좋다면서 성주로 답사를 다녀오자 하기에 아침을 먹고 느직히 길을 나섰다. 네비양이 가르켜준대로 곧잘 따라갔는데...길이 막혀있다. '공사중'이란 팻말 아래 더 이상 들어갈 수 없습니다란 경고문 되돌아 나오면서 조금전 지나쳐 올 때 저곳은 뭐지? 궁금하기도 하고 넓은 주차장에는 사람들도 있기에 주차장에 주차. 남편은 사람들에게 답사갈 곳을 여쭈어보는 사이 난 얼른 스맛폰을 들고 앞쪽으로 총총 바쁜 걸음을 하였다. 성주 별고을 운동장이란 간판이 보였다. 우측으로 안내도가 일렬로 세워져 있기에 궁금하여 다시 총총... 걸음을 옮겼다. 성주 여행길 안내도와 그 옆으로 죽 늘어선 성주의 여행지를 담아와서 애니메이션으로 편집해서 ..
2017.10.28 -
星州(성주) 世宗大王子胎室(세종대왕자 태실)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산 8 국가지정 사적 444호 [태실로 올라가는 솔숲 계단길] 세종대왕자태실은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선석산 아래 胎峰(태봉) 정상에 있다. 嫡庶(적서) 18왕자와 세손 단종의 태실 등 19기가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조성시기는 조선 세종20년(1438)에서 24년(1442)사이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와 안내판] [가봉비문 안내판 글 내용]] [태실구조도] [태실 분포도] 원래는 세종20년(1438~1442) 세워진 수양대군을 비롯하여 세종의 적서 18왕자와 단종 등 20여 기의 태실이 있었으나 수양대군이 단종을 축출한 뒤 이를 반대한 수양의 동복동생 금성대군, 배다른 한남군, 영풍군, 그사건에 무고로 연좌된 화의군 및 계유정란에 죽은 동복동생 안평대군의 ..
2016.09.02 -
北扉古宅(북비고택)과 遯齋(돈재) 李公神道碑(이공신도비)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1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4호 [凝窩宗宅(응와종택) 표지석] 성주 한개마을은 성산 이씨의 집성촌이자 한옥보존마을이다. 북비고택은 한개마을의 '터줏대감' 집이다. 한개마을의‘한개’는 ‘큰 나루’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라 한다. 옛날 낙동강 물길을 따라 이동하던 나룻배가 백천의 물길을 거슬러서 이 마을 앞까지 오르내렸으며, 당시 교통의 요충지이자 큰 나루터를 끼고 있던 한개마을은 경상도 각지에서 몰려든 사람들로 늘 북적거렸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의 백천은 작은 쪽배 하나도 떠다니기가 어려울 만큼 수량이 적어서 옛날의 나루터 풍경을 상상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북비고택은 별도의 살림채로 담장을 두르고, 대문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를 대지 안에 구성하고 있다. 대문..
20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