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주면(3)
-
우연히 만난 제영 鳳棲樓(봉서루)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석고리 254-1 [題詠鳳棲樓(제영 봉서루) 전경] [제영 봉서루 안내판 글 내용] [鳳棲樓(봉서루) 현판] [鳳棲樓(봉서루) 전경] 鳳栖樓(봉서루) 客館(객관) 동쪽에 있으며 縣監(현감) 吳致善(오치선)이 세웠다. 金綽(김작)의 記(기)에, '대개 이 고을이 나는 봉의 형국이므로 이렇게 이름지었다.' 한다. 盧叔仝(노숙동)의 시에, '鳳城山(봉성산) 밑 봉서루에 바람과 날씨 서늘하고 맑아 여름 또한 가을일세.' 했다. [鳳棲樓(봉서루) 현판] 누각안쪽에는 鳳棲樓(봉서루)라 적힌 커다란 현판 하나가 더 걸려 있다. [鳳棲樓(봉서루)] 봉서루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하여 '능주 읍지', '여지도서', '능주군 읍지', '능주 목지', '호남 읍지' 등의 읍지에 모두 '..
2019.08.28 -
靜庵(정암) 趙光祖(조광조) 선생 流配地(유배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174 전라남도기념물 제41호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출입구 와 안내판 전경]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愛憂堂(애우당) 현판] 愛憂堂(애우당) 현판은 後學(후학) 李炳玹(이병현)의 글씨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애우당 옆 전경] 謫廬(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되어 갔던 곳을 이르며, 유허비는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히어 후세에 알리고자 세워두는 비를 말하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종 때 이곳에 유배당한 조광조 선생의 옛 자취를 기록해 두고 있다. [우측에서 담은 애우당 전경] 愛憂堂(애우당)은 정암조광조 선생이 사약을 받은 자리라고 전해지며 그 자리에 건물을 세웠다 합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에 가운데 마루를 둔 구..
2019.07.23 -
화순 능주 팔경 중 하나 映碧亭(영벽정)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산 1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입구쪽에서 담은 영벽정 전경] 영벽정을 언제 지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양팽손(1488∼1545)과 김종직(1431∼1492)의 詩(시)로 미루어 조선 전기 관청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인조 10년(1632) 능주목사 정연이 아전들의 휴식처로 고쳐 지었다고 전하며, 고종 9년(1872)에 불타 버린 것을 고종 10년(1873)에 새로 고쳐 지었다. 이후에도 보수를 거듭해 오다가 1920년에는 주민들이 모은 비용으로 손질하여 고쳐 지었다. [영벽정 우측 노거수(왕버들)와 물에 비친 풍경]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연주산의 경치를 비추는 지석강물을 바라볼 수 있다하여 붙인 이름으로, 지석강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영벽..
201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