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1)
-
慶州(경주) 蘿井(나정)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塔洞(탑동) 700-1 사적 제245호 [蘿井(나정) 안내판] 나정입구 길가에 차를 세워놓고 비스듬이 열린 문을 통해 울타리 안으로 들어서니 입구엔 안내판만 하나 서있을 뿐 넓은 공지만 있고 멀리 소나무 숲이 보인다. [안내판 글 내용] [蘿井(나정)] '三國史記(삼국사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에 이 우물터에서 신라 시조 朴赫居世(박혁거세)가 태어났다는 誕降傳說(탄강전설)이 있다. 기원전 69년 어느 날 高墟村長(고허촌장) 蘇伐公(소벌공)이 陽山(양산) 아래 나정이라는 우물 근처에 이상한 기운이 돌며 백마 1마리가 무릎을 꿇고 있어, 가보니 백마는 하늘로 올라갔고 붉은색의 커다란 알만 남았는데 이 알 속에서 어린 사내아이가 나왔다 한다. 이상히 여겨 동천(東川)에서 목욕시..
2015.10.16 -
順天鄕校(순천향교)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182 전남유형문화재 제127호 [주차장에서 담은 순천향교 외삼문 전경] 태종 7년(1407)에 순천성 동쪽 2.8㎞ 지점에 창건하였다가, 순천이 도호부로 승격됨에 따라 명종 5년(1550) 다시 옮겨 세웠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다가 광해군 2년(1610) 순천성 서쪽 舊址(구지) 북편으로, 정조 4년(1780)에 홍내동으로 이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순조 1년(1801)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순천향교 외삼문] [안내석 글 내용] [명륜당] 외삼문에서 이어지는 돌계단 위에는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다. [명륜당 앞쪽 담곁 비석군 전경] 비석군에 대해 좀더 자세히 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셔요. [서재옆 전경] [향교연혁과 오성. 송조사현] ..
2015.10.15 -
청도 龍岡書院(용강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 450 시도기념물 제129호 [마을 입구쪽에서 담은 용강서원 전경] [十四義士碑閣(14의사비각) 현판] [서원 앞 十四義士碑閣(14의사비각) 전경] 안내판에 적힌 내용을 알아보면, 이곳은 忠肅公(충숙공) 朴翊(박익, 1332~1398)과 임란 14의사를 제향하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이곳에는 임진왜란 때 忘憂堂(망우당) 郭再祐(곽재우) 등과 연합하여 의병을 일으켜 청도, 경산 등지에서 왜적들에게 큰 타격을 준 삼우정 朴慶新(박경신), 慶因(경인), 慶傳(경전), 慶胤(경윤), 慶宣(경선), 智男(지남), 哲男(철남), 瑄(선), 璨(찬), 璘(린), 瑀(우), 瑾(근), 琡(숙), 球(구) 등 14의사를 모신 사당이다. 이들 14의사는 부자, 형..
2015.10.15 -
화성 龍珠寺(용주사)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송산리 188번지 [思悼世子(사도세자)의 원찰 龍珠寺(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의 화산 기슭에 龍珠寺(용주사)가 자리하고 있다. 효심이 지극한 정조가 당파싸움에 희생양이 된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하여 지은 용주사는 4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했는데, 낙성식 전날 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었기에 용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 내려온다. 절을 지을 때 정조가 보경스님을 시켜 만든 佛說父母恩重經板(불설부모은중경판)도 보관되어 있다. 부모가 자식을 잉태하여 낳고 기르기까지의 은혜와 그 은혜를 갚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으로 자식에게 효를 강조하는 것만 아니라, 부모의 구실까지 생각해 보게 하는 효에 관한 경전이다. 계비 김씨의 아버지 김한구와 그 일파인 홍계희, ..
2015.10.11 -
순천 龍岡書院(용강서원)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28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21호 [입구 쪽에서 담은 서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서원 솟을 삼문]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梁彭孫(양팽손, 1488~1545). 자 大春(대춘). 호 學圃(학포). 본관 濟州(제주). 중종 11년(1516)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己卯士禍(기묘사화) 때 사직되어 고향인 능주로 돌아왔다. 이 때 능주로 유배된 조광조와 많은 교류를 하였다. 글과 그림에 능한 그는 당시 신진사류의 한사람으로 활약하였다. 文章(문장)과 書畵(서화)로 명성을 얻은 문신이다. 그는 조선 후기의 尹斗緖(윤두서, 1668~1715), 말기의 許鍊(허련, 1809~1892)과 함께 호남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 손꼽히..
2015.10.07 -
울진 평해 越松亭(월송정)
소재지 :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362-2 [월송정으로 가는 울창한 솔숲] [울진군 관광 안내판] 關東八景(관동팔경) 중 제일 남쪽에 있는 越松亭(월송정)은 조선 중기 관찰사 박원종(朴元宗)이 중건하였으나 세월이 흘러 퇴락되었던 것을 1933년 鄕人(향인) 黃萬英(황만영)등이 다시 중건하였다. [월송정 가는 솔숲길] [안내판 전경] 그 후 일제 말기 제2차 세계대전 중 적기(연합군)내습의 목표가 된다 하여 월송주둔 일본군이 철거하여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69년 4월 평해, 기성, 온정면 출신의 재일교포로 구성된 金剛會(금강회)의 후원을 받아 철근 2층 콘크리트의 현대식 건물로 정자를 신축하였다가 옛모습이 아니다 하여, 1979년 해체하고 1980년 7월에 옛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월송정 중건비] ..
2015.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