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2017. 12. 9. 05:59문화산책/사찰 탐방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전경]

 

크게 훼손돼 비석의 조각만 남아 있는 ‘인각사 보각국사비(보물 제428호)'

비가 파손된 경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東溪集(동계집)'에는 당시 수작으로 꼽히던 '王羲之(왕희지)'의 글씨를 얻기 위해 수많은

탁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절이 불타면서 파손되었다고 전한다.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19세기 말에는 一然(일연)의 부도자리에
조부묘를 쓰고자 하였던 皇甫氏(황보씨) 일족이
승려들에게 저지당하자 절의 전각과 비석을 파괴하였다고 한다.

 

[보각국사비 재현비명 전경]

 

복원한 보각국사비의 규모는 가로1.2m 두께0.25m 높이2.0m의 크기에
충남 보령산 오석을 비신으로 결정하여 총4,065자 비문을 왕희지 글씨를 集字(집자)하여

조각하였으며, 이수는 용머리 귀부는 거북모양으로 조각하여  총높이 3.83m의 보각국사비를 재현하였다.

 

재현된 보각국사비는 일연성사께서 이곳 군위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완성하였다는 삼국유사의 집필지로서 역사적인 가치가 있다.

 

[안내판 전경]

[현재 위치 안내도]

[보각국사비 재현비명 안내 글 내용]

[보각국사비 재현비명 영문 안내 글 내용]

[좌측에서 담은 보각국사비 재현비]

 

'겁화가 거세게 일어나 온 산하를 불태우더라도 이 비석은 남아 없어지지 않으리.'

군위 인각사에 있는 일연스님의 비인 보각국사비의 마지막 구절이다.

 

이 비는 보각국사탑과 더불어 '보물(제428호)'로 지정돼 있으나
비문의 예언과 달리 현재는 몇조각이 깨어진채로 남아 있다.

 

[일연테마로드 종합안내도]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안내 글 내용]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영문 안내 글 내용]

[인각사 부도와 부도 비 전경]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한 墓塔(묘탑)

 

[浮屠(부도) 碑(비) 앞면]

[浮屠(부도) 碑(비) 뒷면]

[浮屠(부도) 전경]

 

좌측부터 취진당 법환대사지탑. 청진당 법장대사지탑. 연월당 계훈대사지탑.

 

[浮屠(부도) 전경 2]

 

우측부터 연월당 계훈대사지탑.  청진당 법장대사지탑.  취진당 법환대사지탑.

 

[뒤쪽에서 담은 보각국사비 재현비]

[우측 옆에서 담은 보각국사비 재현비]

[앞쪽 비스듬히 담은 보각국사비]

 

햇볕이 사진 찍는것을 방해한다.

이렇게 저렇게 각도를 잡아보았지만...

정면으로는 도저히 담을 수 없어서 비스듬하게 담았습니다.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부도와 부도비쪽에서 담은 앞쪽 전경]

 

위 사진에서 좌측으로 조금 더 내려가면 인각사  

절을 마주보고 병풍처럼 서 있는 깎아지른것 같은

바위벽은 예로부터 시인묵객이 음풍영월하던 곳이라고 한다.

학이 둥지를 지은 곳이라 해서 鶴巢臺(학소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