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6)
-
北地藏寺(북지장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620 보물 제805호 [지장사 오르는 숲길] 북지장사로 오르는 길은 대구의 올레길 중에서도 울창한 숲이 우거져 왕복 2시간 정도의 걷기에 딱 좋은 곳이기도 하다. 북지장사를 답사하기 위해 나선 길 마음도 바쁘고 시간도 촉박하여, 입구쪽에 주차해 놓고 걸어서 오르지 못하고, 차로 이동하였다. [북지장사 입구] 지금은 규모가 작아졌지만, 한때 사찰밭이 200결이나 될만큼 규모가 컸으며 지금의 桐華寺(동화사)를 말사로 거느렸다 합니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桐華寺(동화사)의 말사이다. [등산로 인봉 올레길 입구] [해우소] 명종 22년(1192) 普照國師(보조국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보조국사의 중창 이후 이 절의 역사는 전혀 전래되지 않고 있다. ..
2015.09.30 -
北地藏寺(북지장사) 三層石塔(삼층석탑)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두 도장길 243 시도 유형문화재 제 6호 [안내판과 삼층석탑 표석碑(비) 전경] [안내판 글 내용] [西塔(서탑)] 북지장사의 대웅전 동쪽에 나란히 서 있는 두 탑이다. 북지장사는 고려 명종 22년(1192)에 보조국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그 이후의 역사는 전하고 있지 않다. [北地藏寺(북지장사) 三層石塔(삼층석탑) 西塔(서탑)] 탑은 2층 基壇(기단)에 3층 塔身(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두 탑의 규모와 형식이 거의 같다.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윗면에 약한 경사가 흐르고, 밑면의 받침이 4단이며,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다. 땅속에 묻혀 있거나 주변에 흩어졌던 것을, 1981년 새로이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東塔(동탑)] 동탑은 이중 기..
2015.09.23 -
許蘭雪軒(허난설헌) 墓域(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 29-5 경기도 기념물 제 90호 [허난설헌 안내표석] 이곳도 찾기가 힘이 들었다. 네비양이 가르켜 주는 주소의 목적지는 고속도로위 역시 말 물음으로 물어 물어 이곳까지 오게 되었다. 허난설헌 지묘라 새겨진 안내석이 반갑다. [안내석 글 내용] [재실과 안내판과 허난설헌 묘 전경] 안내석이 인도해 주는 대로 아늑한 길을 따라 오르니, 우측으로 주차장이 보여 우선 주차를 하고 돌아보니, 허난설헌의 묘가 재실과 함께 높다른 둔덕위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안내판 글 내용] [묘역 옆 재실 전경] [정면에서 담은 묘역 전경] 난설헌 무덤은 안동 김씨 묘역에 있다. 3단으로 되어 있는데 남편과는 죽어서도 따로 떨어져 있다. 김성립은 후처로 들어온 남양 홍씨와 합장되어 ..
2015.09.11 -
海公(해공) 申翼熙(신익희)선생 生家(생가)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서하리 160-1 경기도 기념물 제 134호 [생가 입구쪽 담벽] 답사길에 길을 묻기위해 들린 곳에서 우연히 마주친 앞쪽 담벼락의 글을 읽고 이곳이 바로 해공 신익희선생의 생가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우선 이곳부터 들리기로 하였다. [조금 더 가까이]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한낮 생가 골목 입구에서 해공선생을 만났습니다. 선생의 생가가 있는 골목입구에는 '사마루, 지는 노을에 해공 선생을 만나다.'라는 글이 제일 먼저 반겨주었습니다. 사마루는 말을 타고 마을을 지나던 네명의 고려충신이 마을의 모습이 누각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신익희 선생의 주요 업적과 발자취를 소개하고 있었다. [해공선생 어록 담장] 골목안으로 들어가보았지요. 생가로 꺾어드는 담벽에도 ..
2015.09.10 -
申砬(신립)장군 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산1-1번지 경기도 기념물 제95호 [안내판과 묘소 오르는 길 전경] [묘역으로 가는 길] 주소가 있기에 쉽게 찾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하였다. 네비에 찍어놓은 주소로 가자는대로 움직였지만, 엉뚱한 곳에 대려다 놓고는 안내를 종료한다나 뭐라나...ㅠ.ㅠ [묘역 오르는 계단] 이럴땐 역시 그곳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께 여쭈어보는게 상책이다. 물어 물어 어찌어찌 도착하였다. 안내팻말을 갈림길쪽에라도 세워두었드라면 참 좋았을텐데... 묘가 있는 둔덕에 오르니, 나란히 3기의 묘가 자리하고 있었다. 차례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申昉(신방)의 묘 전경] 申昉(신방, 1686-1736)은 신립의 6대손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 자 明遠(명원) 호 鈍庵(둔암) 相臣(..
2015.09.08 -
南地藏寺(남지장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865 시도유형문화재 34호 [南地藏寺(남지장사 전경] [음수대] [안내판과 안내도 전경] [남지장사 안내판 글 내용] [남지장사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우록마을 등산로 종합 안내도] [남지장사로 오르는 돌계단] 오래전 들렸을 때는 없었던 옹벽을 성처럼 쌓아 남지정사로 오르는 높다랗게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네요. 07년도에 다녀온 남지장사와 비교해 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光明樓(광명루)] [光明樓(광명루) 옆 범종] [光明樓(광명루) 현판] [光明樓(광명루) 전경] [光明樓(광명루)에서 담은 대웅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가창면 最頂山(최정산)에 있는 사찰. 팔공산내의 北地藏寺(북지장사)와 서로 대칭되는 곳에 위치한 ..
201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