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12월17일(2)
-
대구 제일 교회 내 현제명 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 대구제일교회내 [우측에서 담은 玄濟明(현제명) 나무 전경] 玄石(현석) 玄濟明(현제명) 대구 출신의 성악가이자 작곡가 일제 말기와 해방직후 활발한 음악활동을 펼쳤다. 1931년에는 조선음악가 협회를 창립하고 이사장이 되었다. 그는 같은 해에 '현제명 작곡집 제1집'을 펴낸다. '현제명 작곡집 제2집'은 1933년에 나온다. 1940년에는 일제에 의해 연희전문학교 교원의 직위를 잃게 된다. 일제 말의 어둠의 시기에 그는 일본에 기울게 된다. [안내판] 수종 : 이팝나무 수령 약 200년 [玄濟明(현제명) 나무] 그의 노래들은 중고등학교 교과서 등을 통해서 해방 후 널리 불려졌다. '고향생각', '그 집 앞', '산들바람', '희망의 나라로', '나물 캐는 처녀' 등..
2017.02.01 -
대구 북성로 공구박물관
소재지 : 대구 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9 [공구박물관 안내팻말] 대구 북성로에는 특별한 박물관이 있다. 300여 개의 공구가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그곳에 자리하고 있는 공구박물관이다. [공구 박물관 전경] 이 작고 앙징스러운 건물이 공구박물관? 아마도 제일 작은 박물관이 아닐까 북성로 공구박물관은 일제 강점기의 敵産家屋(적산가옥)을 이용해 만들어진 工具(공구) 博物館(박물관)이라 한다. 敵産家屋(적산가옥) : 자기 나라나 점령지 안에 있는 敵國(적국) 소유의 집. [공구박물관 정면 전경] 북성로 공구 거리는 ‘도면만 있으면 탱크도 만들 수 있다.’ 는 곳으로 이곳 북성로 공구 거리는 한때 못구할것도 없고 못만들것도 없는 곳이라 한다. 2군데의 출입문이 닫혀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진 못하였다. [다시 ..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