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10월2일(3)
-
영광 內山書院(내산서원)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강항로 101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28호 [안내판과 홍살문 전경]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내산서원 안내도] [안내판 영문 글 내용] [홍살문 옆 강항 선생 동상 전경] [睡隱姜沆先生像(수은강항선생상)] [睡隱姜沆先生像(수은강항선생상)] 홍살문 옆으로 수은 강항선생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홍살문 뒤쪽 서원가는 길] 우측 길 옆으로 동백나무가 줄지어 서 있다. 동백꽃이 피는 계절에 들리면 활짝 핀 동백꽃길로 서원가는 길이 더욱 화려할 것 같다. [홍살문 뒤 서원가는 길 2] [서원가는 길 에서 담은 서원과 정자 전경] [睡隱停(수은정) 전경] [입구쪽에서 담은 서원 전경] [서원 입구쪽 義節廟(의절묘) 전경] [如在門(여재문)] 如在(여재)라는 말은 살아계..
2016.11.19 -
1박 2일 여행 둘째 날(낙안읍성 내) 東軒(동헌)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동내리 [낙안 읍성 내 東軒(동헌) 솟을삼문 전경] [낙안 읍성 내 東軒(동헌) 솟을삼문] [동헌 안내판 글 내용] [使無堂(사무당) 현판] 어렵게 함께 한 여행이라 그런지.... 여행내내 꿈을 꾸는듯 하드니만, 使無堂(사무당) 현판도 또럿하지 않고 한여름밤의 꿈처럼 담겼네요. ㅎ [使無堂(사무당) 전경] 觀察使(관찰사). 兵士(병사). 水使(수사). 守令(수령)들의 政廳(정청)으로서 지방의 일반행정 업무와 재판 등이 여기서 행해졌다. 지방관의 생활 처소인 內衙(내아 : 西軒(서헌)이라고도 함)와 구분되어 보통 그 동편에 위치했기 때문에 동헌으로 불리게 되었다. 衙舍(아사). 郡衙(군아). 縣衙(현아). 視事廳(시사청)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使無堂(사무당)] 동쪽에..
2016.10.13 -
1박 2일 여행 둘째 날 樂安客舍(낙안객사)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동내리 401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70호 [樂安客舍(낙안객사) 전경] [樂安客舍(낙안객사)] 조선시대 객사는 외국 사신이나 왕명으로 지방을 방문하는 중앙의 관리들이나 귀빈들을 위한 숙소로 지어진 건물이라 한다. [樂安客舍(낙안객사) 삼문 전경] [낙안객사 안내판 글 내용] [樂安客舍(낙안객사)] 고을에서 가장 으뜸이 되는 건물로 마을의 정사를 관장하는 동헌 보다 격을 높이하여 낙안읍성안에서도 중앙 가장 높은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樂安之館(낙안지관) 현판] [樂安之館(낙안지관)] 객사 중앙 마루에는 闕牌(궐패)와 殿牌(전패)를 모셨고 고을의 대소사가 있을때는 向闕望拜禮(향궐망배례)를 행하였다 한다. [闕牌(궐패) 와 殿牌(전패)] 황제를 상징하는 闕牌(궐패), ..
201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