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24일(2)
-
청간정 자료전시관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청간리 [청간정 내려오며 담은 자료전시관 전경] 첫번째로 보이는 건물은 화장실 나란히 자리한 아래쪽 건물이 자료전시관이다. [관동팔경 안내도] [청간정 자료 전시관] [자료전시관 내부] 관광안내소를 겸한 자료전시관 내부에는 청간정의 시판과 현판을 비롯해 청간정을 노래한 시와 회화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天敎滄海無潮汐 하늘의 지시로 바다엔 밀물 썰물 없고 亭似方舟在渚涯 방주 같은 정자 하나 물가에 서 있네. 碧波纔動已吹衣 붉은 해 솟으려고 광선 먼저 창문을 쏘고 碧波?動已吹衣 푸른 물결 일렁이자 옷자락 먼저 나부끼네. 童男樓?遭風引 동남동녀 실은 배 순풍에 간다 해도 王母蟠桃着子遲 왕모의 복숭아 열리는 시기는 까마득해라. 怊悵仙蹤不可接 신선 자취 접하지 못한 아쉬움 속에..
2016.05.23 -
關東八景(관동팔경) 淸澗亭(청간정)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청간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주차장에서 담은 청간정 입구쪽 전경] 淸澗亭(청간정)은 관동팔경 중 하나로 동해바다와 연결되는 청간천 하구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이다. [여러 종류의 안내판 전경] [청간정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글 내용] [청간정으로 오르는 돌계단] [계단 옆 산딸기꽃] [접사로 담은 산달기 꽃] [淸澗亭(청간정) 전경]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중종15년(520) 군수 崔淸(최청)이 고쳐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건립된 것으로 짐작한다 합니다. [淸澗亭(청간정) 전경 2] 이후 수차에 걸쳐 수리가 이루어지다가 고종 21년(1884) 소실된 것을 1928년 면장 金容集(김용집)의 발의로 재건되었다가 한국전쟁 때 다시 ..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