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석정지(2)
-
鮑石亭址(포석정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鮑石亭址(포석정지) 출입구 전경] 대한민국 사적 제1호인 포석정은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의 연회를 행하던 곳으로 신라 宮苑(궁원) 기술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최근엔 연회를 행하던 장소보다 의식이 행해졌던 곳이라는 설이 더 힘을 받고 있다. [안내판과 출입구 전경] [경주 포석정지 안내 글 내용] [경주 포석정지 안내도] [경주 포석정지 영문 중국어 안내 글 내용] [바깥 담에 붙어 있는 鮑石亭址(포석정지) 사진] [鮑石亭址(포석정지) 표석비] [출입구에서 담은 鮑石亭址(포석정지) 전경] 경주시 배동에 있는 신라의 별궁이 있던 자리에 건물은 없어지고 석조구조물만 남아 있다. [안쪽 담에 붙어 있는 鮑石亭址(포석정지) 사진] [鮑石亭址(포석정지) 주변 ..
2019.02.09 -
鮑石亭址(포석정지)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배동 454-3 사적 제 1호 [포석정지 입구 전경] [안내판 글 내용] [鮑石亭址(포석정지) 전경] 1963년 1월21일에 사적 제1호로 지정된 이 포석정은 현재 경주 남산 서쪽 계곡의 포서계의 계곡가에 있다. 이 포석정일대를 城南(성남) 離宮址(이궁지)라고도 하는데, 이궁이란 임금이 행차하셨을 때 머무는 別宮(별궁)을 가리키는 말로 이곳은 왕족과 귀족들의 놀이터 또는 南山神(남산신)을 위해 祭祀(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鮑亭址(포석정지) 주변 노거수] 신라 제 55대 경애왕은 재위 4년(997) 9월 포석정에서 견훤이 침공해 온다는 급박한 통보를 받고 고려 왕건에게 도움을 요청한 후, 이곳 포석정에서 대치하고 있었다 한다. 그러나 포석정은 결국 슬픈 비운이 담..
2016.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