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각사(3)
-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전경] 크게 훼손돼 비석의 조각만 남아 있는 ‘인각사 보각국사비(보물 제428호)' 비가 파손된 경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東溪集(동계집)'에는 당시 수작으로 꼽히던 '王羲之(왕희지)'의 글씨를 얻기 위해 수많은 탁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절이 불타면서 파손되었다고 전한다. [보각국사비 재현비명과 인각사 부도와 부도비] 19세기 말에는 一然(일연)의 부도자리에 조부묘를 쓰고자 하였던 皇甫氏(황보씨) 일족이 승려들에게 저지당하자 절의 전각과 비석을 파괴하였다고 한다. [보각국사비 재현비명 전경] 복원한 보각국사비의 규모는 가로1.2..
2017.12.09 -
인각사(일연선사와 삼국유사 특별전)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일연선사생애관 전경] [일연찬가 / 고은 시비] [일연선사와 삼국유사 특별전] [생애관 내부 전경] 문을 열고 들어섰지만, 아무도 안계셨다. 사진을 담기에는 좀 어두워서 어쩔까? 망서리는데... 문옆 벽면에는 관람을 하실때는 불을 켜셨다가 나가실땐 끄고 나가시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얼른 불을 환하게 밝히고 스맛폰으로 담기 시작 관람은 조용히... 설명은 생략...소개합니다. [일연선사] [좌측에서 담은 일연선사생애관 전경] 관람 잘 하셨나요. 제가 이렇게 상세히 담아오는데는 이유가 있답니다. 오래전 블로그 이웃으로 몸이 불편하여 바깥나들이를 전혀 못하는 이웃이 있었어요. 그 이웃이 사진으로나마 들려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데... 간단하게 말고, 좀 ..
2017.12.08 -
삼국유사의 산실 麟角寺(인각사)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인각사 표석비 전경] [인각사지 안내판 글 내용] [인각사지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인각사 극락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銀海寺(은해사)의 말사이다. 선덕여왕 12년(643)에 元曉(원효)가 창건하였다. [일연선사 생애관 전경]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전경] 절의 입구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 俗傳(속전)에 기린이 뿔을 이 바위에 얹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麟角寺(인각사)라 하였다 한다.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이 유물들이 고증에 의해 다시 세워져서 완전한 옛 모습을 갖춘 인각사로 재 조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각사 극락전 전경] 그 뒤 충렬왕 33년(1307)에 一然(일연)이 중창하고 이곳에서 '三國遺事(삼국유사)'를 저술하였..
20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