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창동(4)
-
예술발전소 2층 萬券堂(만권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58-2 [예술 발전소 내 2층만권당 전경] 대구예술 발전소는 담배공장 부지였던 곳을 리모델링하여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예술 창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현재 국내외 현대미술 전시회 등 다양한 전시 공연 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萬券堂(만권당) 출입구] 누구나 처음에는 숫자 '10,000'을 생각하겠지만, 다른 유래가 있다는 것은 이번 포스팅을 하며 알게 되었다. 그것은 고려 충선왕이 원나라 연경에 세운 도서관으로, 성리학을 연구하던 곳을 뜻하고, 또 하나는 1920년 독립운동가 문영박 선생이 달성군 화원읍 인흥마을에 세운 문고를 뜻하며 이곳은 국채보상운동의 발판이 되는 토론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萬券堂(만권당)'을 문..
2018.05.21 -
소남 이일우와 友弦書樓(우현서루) 옛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101-11 대구은행(북성로지점)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우현서루 옛 터) 전경] 우리나라 최초의 항일운동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또 이후 각계에서 일어난 항일운동가 상당수 키워낸 곳이 바로 友弦書樓(우현서루)였으며, 현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 자리가 友弦書樓(우현서루) 자리였다 한다. '뜻있는 선비들이 모여 나라를 걱정하고 의기를 기르는 곳' 대구 북성로 공구상가가 즐비한 골목을 나와 마주한 사거리에 섰습니다. [은행 앞 소남 이 일우와 태극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일제에 저항했던 이상화 시인의 할아버지 이동진 선생이 을사늑약 한 해 전인 1904년에 友弦書樓(우현서루)를 지었고, 이상화 시인의 큰아버지인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2018.05.18 -
수창 청춘맨션 2층 2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64-2 [2층 전시실 출입구 쪽에서 담은 전경] 트라이파드(TR-POD) 집에 식물 이슈? "요즘 잘 지내?" "별일 없지?" 사람들은 흔히 이런 말로 서로의 안부를 묻는다. 우리는 관람객에게 "집에 식물 있나요?"라는 말로 안부를 묻고 싶다. 가장 기본적인 공간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집', 그 공간에서 느끼는 감성과 생각들을 이입시켜 표현한 '식물', 개인의 감정과 내면의 이야기를 담은 '이슈(issue)'로 말이다. 타이틀로 하는 두 번째 전시는 안부를 묻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 가지 주제의 대화거리를 슬쩍 던져보려 한다. (작가 김가희 / 서상희 / 임은경 작품의 설명 글을 옮겨 적음) [전시공간] [전시된 작품] [전시된 작품] [안쪽에서 담은 전시되 작..
2018.05.01 -
소남 이일우와 友弦書樓(우현서루)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101-11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우현서루 옛 터) 전경] 우리나라 최초의 항일운동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또 이후 각계에서 일어난 항일운동가 상당수 키워낸 곳이 바로 友弦書樓(우현서루)였으며, 현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 자리가 友弦書樓(우현서루) 자리였다 한다. [은행 앞 소남 이 일우와 태극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일제에 저항했던 이상화 시인의 할아버지 이동진 선생이 을사늑약 한 해 전인 1904년에 友弦書樓(우현서루)를 지었고, 이상화 시인의 큰아버지인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선생이 이일우 선생이 이곳을 운영하였다.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友弦書樓(우현서루) 는 1911년 강제폐쇄 때까지 新知識(신지식) 보급은 물..
2017.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