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가지(2)
-
申乭石將軍(신돌석장군) 生家址(생가지)
소재지 경북 영덕군 축산면 도곡2리 528-1 경북기념물 제87호 [生家(생가) 전경] 생가는 2동으로 되어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팻말과 생가 전경]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기념물 제87호로 지정되었다. 신돌석의 후손 신동화가 소유·관리한다. 신돌석의 아버지 신석주가 1850년 무렵에 지었다. 안채는 남향이고, 경역 입구는 담과 담 사이를 뚫어놓아 드나들 수 있게 하여 두었으며, 마당 왼쪽에 신돌석장군생가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안채] 단출한 네 칸의 초가에서 영웅이 태어나셨다. 앞면 4칸·옆면 1칸 규모의 一자형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人(인)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 으로 꾸몄다. 신돌석의 생가는 일본 관헌들이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꺾으려는 정치적 의도로 1940년에 ..
2015.12.17 -
독립운동가이며, 시인인 한용운선생 생가지를 찾아서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기념물 제 75호 [生家址(생가지) 안내판] [生家址(생가지) 안내글] [만해 체험관] 늦은 시간 도착하여 체험관엔 들리지 못하고 건물만 사진으로 담아 올려봅니다. [체험관 앞 만해선생 동상] [生家址(생가지) 전경]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생가지를 향하여 발길을 옮겼다. [관리소] 생가지로 들어가는 왼쪽에 세워져있다. [卍海 韓龍雲(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승려이며 詩人(시인)인 韓龍雲(한용운, 1879∼1944)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獨立運動家(독립운동가)로도 활동했으며 호는 卍海(만해)이다. 6세부터 성곡리 서당골에서 한학을 배워 9세에 문리를 통달, 신동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26세에 강원도 백담사에 들어가 불문에 입도. 삼일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2015.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