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면(3)
-
禮安鄕校(예안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ㅡ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禮安鄕校(예안향교) 앞의 보호수] 예안향교는 도산서원을 찾아가는 길에 함께 들러보면 좋다. 사시사철 방문객이 끊이지 않는 도산서원과 달리 예안향교는 안동에서 도산서원 가는 길에 쉽게 들를 수 있는 곳이지만, 이곳에서 발길을 멈추는 이가 드물다. 예안향교는 안동 시내에서 도산서원 방면으로 약 20㎞ 떨어진 서부단지에 있으며, 이 길은 도산서원으로 가는 길이어서 대부분의 안내판은 도산서원을 가리키고 있다. 때문에 예안향교를 알리는 팻말을 놓치기 쉽다. 향교 앞까지 자동차가 접근할 수는 있지만, 급한 경사를 곤두박질치듯 내려가야 하니 조심해야 한다. 도로 가장자리에 자동차를 주차할 공간이 넉넉하다. 주위를 잘 살피고 자동차를 세..
2016.08.01 -
謙齋(겸재) 趙禎(조정) 재실과 묘소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월촌서당 옆) [뒤쪽에서 담은 謙齋(겸재) 전경] 월천서당 옆으로 길이 나있기에 가 보았다. 안동호를 바라보이는 곳에 무언가 범상찮아 보이는 재실이 자리하고 있었다. 재실겸 정자인 謙齋(겸재)는 趙錫朋(조석붕, 1585~1657)이 삼촌인 趙禎(조정, 1551~1633)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것이라 한다. 조석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 子百(자백), 호 寒砂(한사) 月川(월천) 趙穆(조목)의 둘째 아들이며, 趙禎(조정)의 조카이다. [謙齋(겸재) 현판] 재실의 이름인 '謙齋(겸재)'는 조정의 아호인데, '易經(역경)'의 64卦(괘) 가운데 地山謙(지산겸) 괘에서 그 의미를 취하였다고 한다. 地山謙(지산겸)은 겸손하고 덕이 있는 군자의 도리를 나타낸 괘이다. [..
2016.06.09 -
예안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ㅡ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禮安鄕校(예안향교) 앞의 보호수] 예안향교는 도산서원을 찾아가는 길에 함께 들러보면 좋다. 사시사철 방문객이 끊이지 않는 도산서원과 달리 예안향교는 안동에서 도산서원 가는 길에 쉽게 들를 수 있는 곳이지만, 이곳에서 발길을 멈추는 이가 드물다. 예안향교는 안동 시내에서 도산서원 방면으로 약 20㎞ 떨어진 서부단지에 있으며, 이 길은 도산서원으로 가는 길이어서 대부분의 안내판은 도산서원을 가리키고 있다. 때문에 예안향교를 알리는 팻말을 놓치기 쉽다. 향교 앞까지 자동차가 접근할 수는 있지만, 급한 경사를 곤두박질치듯 내려가야 하니 조심해야 한다. 도로 가장자리에 자동차를 주차할 공간이 넉넉하다. 주위를 잘 살피고 자동차를 세..
2016.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