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7)
-
학봉선생 신도비와 월봉 고선생 유장비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장흥 고씨 의열공 학봉 신도비 전경] 鶴峯(학봉) 高因厚(고인후, 1561~1592) 본관 長興(장흥). 자 善健(선건), 호 鶴峯(학봉). 형조좌랑 高雲(고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 호조참의 高孟英(고맹영) 아버지 의병장 高敬命(고경명), 어머니 金百鈞(김백균)의 딸이다. 형은 의병장 高從厚(고종후)이다. 고경명의 아들이자 권율 휘하의 장수였다. [장흥 고씨 의열공 학봉 신도비 전경] 아버지 의병장 高敬命(고경명) 그에게는 종후, 인후, 준후, 순후, 유후, 용후 등 아들 여섯이 있었다. 이 가운데 문과 급제자인 장남 종후는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였으며, 차남 인후 역시 문과 급제자인데 아버지와 함께 금산전투에서 순절하였다. [장흥 고씨 의열공 학봉 신도비] ..
2018.07.10 -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조선시대 5란 이란,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인좌의 난'을 말한다. 나라가 위험에 처했을 때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나라를 구했던 의병 2천143위를 기리는 충혼탑이 2015년 3월 26일 전남 담양군 청평면 유천리 월봉산 아래 역사공원에 광주. 전남 조선 5란 충의사 호국 충혼탑을 세웠다.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전경] 임진 정류 왜란의 이순신(1545~1598) 본관 德水(덕수). 자 汝해(여해). 아버지 貞(정)이며, 어머니는 草溪卞氏(초계 변씨)러 守林(수림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가계는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로부터 내려오는 문반의 가문으로 ..
2018.06.07 -
녹천 고광순의사 기념관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22-1 [녹천 고광순의사 기념관 전경] 한말 호남지역 의병장 鹿泉(녹천) 고광순(1848~1907)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대제를 마지하여 녹천 고광순의사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관과 사당을 지었다 한다. [녹천 고광순 의사 기념관] 본관 長興(장흥). 초명 高光旭(고광욱) 또는 高光珣.高光詢(고광순). 자 瑞伯(서백), 호 鹿川(녹천). 전라남도 담양 출신. 생부 高鼎相(고정상), 양부 高慶柱(고경주), 항일투사 奇山度(기산도)가 사위이다. [관리사무소 전경] 구한말 의병은 전. 후기로 구분하는데, 전기는 1895년 명성황후 살해와 단발령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고, 후기는 을사조약 체결 후에 일어났다. 호남에서 전기 의병은 장성의 松沙(송사) 奇宇萬(기우만)이 주도..
2018.06.05 -
昌平鄕校(창평향교)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교산리 138 전남유형문화재 제 104호 [昌平鄕校(창평향교) 전경] 고서면 소재지에서 광주댐으로 가는 길로 접어든 다음, 곧바로 왼쪽으로 꺾어지면 나직한 산 능선의 경사면에 昌平鄕校(창평향교, 유형문화재 104호)가 자리잡고 있다. 들어가는 입구부터 홍살문이 크다랗게 자리하고 있어서 범상치 않은 기운을 느끼게 한다. [昌平鄕校(창평향교) 비석군] 정종 원년(1399)에 창건하였다고 읍지에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의 건물은 성종 10(1479년)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숙종 15(1689년)에 현령 박세웅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였다 한다. 그 후 임진왜란(1592) 때 불타 없어진 것을 그 후에 다시 지었다. [안내판 글 내용] [담밖 비석군] 향교는 훌..
2016.07.09 -
俛仰亭歌(면앙정가)의 산실 俛仰亭(면앙정)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402 전라남도 기념물 제6호 [俛仰亭(면앙정) 표석비] 길가엔 살살이꽃(코스모스)이 바람에 살살 살랑인다. 뒤로 뒤로 자꾸만 뒤로만 달아나는 들판과 가로수, 꽃, 구름, 산 산 산... 구불구불 시골길을 더듬어 달려 드디어 면앙정에 이르렀다. 잡목 숲과 대밭 사이에 가파른 언덕에 만들어진 면앙정으로 오르는 돌계단은 가파르게 경사져 있었다.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겼다. 옛 어르신을 뵈오려 가는 길에 가뿐 숨을 내쉰들 어찌 힘들다 하겠는가 [俛仰亭(면앙정) 오르는 돌계단] 宋純(송순) 朝鮮(조선) 中宗(중종 28) 조선 명종때의 문신이며, 시인 자는 遂初(수초). 호는 俛仰亭(면앙정), 企村(기촌). 좌찬성을 지냈으며, 작품에는 '俛仰亭歌(면앙정가)' 저서에는 '企村..
2016.04.29 -
思美人曲(사미인곡)의 산실 松江亭(송강정)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274 전남기념물 제1호 [松江亭(송강정) 오르는 계단] 본관 延日(연일). 자 季涵(계함), 호 松江(송강) 시호 文淸(문청). 奇大升(기대승), 金麟厚(김인후), 梁應鼎(양응정)의 문하생 어려서 仁宗(인종)의 貴人(귀인)인 맏누이와 桂林君(계림군) 유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로 인해 궁중 출입을하였는데 이 때 어린 慶原大君(경원대군 뒤에 明宗(명종)과 친숙했다. [솔숲에 둘러쌓인 송강정 전경] 1545년(명종 즉위) 乙巳士禍(을사사화)에 桂林君(계림군)이 관련되자 아버지가 유배당할 때 配所(바소)에 따라다녔다.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環碧堂(환벽당), 息影亭(식영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 불린다. [松江亭(송강정) 안내판] ..
2016.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