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선(2)
-
달성 한일우호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륵길 206 [녹동 서원쪽에서 담은 달성한일우호관 전경] [한일우호관 주변 안내도] 녹동서원 둘러보시려면 요기 클릭 이번에도 묘소에는 들리지 못하고 왔습니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다시 들려볼 생각입니다. 묘소는 그때 다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일달성우호관 종합안내도] [달성 한일우호관 현판] [달성한일우호관 입구 전경] 녹동서원 옆에 위치한 달성한일우호관은 2010년 1월 착공하여 2012년 5월 개관하였으며, 모하당 김충선 선생의 귀화 및 귀화 후의 활약상을 내용으로 한 역사관, 3D 영상관, 예절교실, 기획전시관, 전통놀이 및 일본식 정원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한.일 문화 교류와 화합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화합의 미소] [화합의 미소 안내글 내용] [달성..
2015.09.15 -
金忠善(김충선)과 鹿洞書院(녹동서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585 [鹿洞書院(녹동서원) 전경] 녹동서원은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장수 모하당 金忠善(김충선, 1571~1642)을 추모하기 위해 정조 13년(1789)에 건립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1884년 훼철되었다가 1914년 중건하였으며, 1971년 이전하였다. 김해김씨(우록김씨) 시조 김충선 沙也可(사야가)의 일생은 우리에게 남다른 감흥을 준다. [神道碑(신도비)] 침략군이 되기를 거부한 일본인 沙也可(사야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내세운 전쟁의 명분이란 것은, 단지 전쟁의 부당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침략을 하는 이도 저항을 하는 이도 모두 알고 있던 옳지 못한 명분이었지만, 조선을 침략해 들어온 20만 일본의 무사들은 그 부당한 전쟁..
2015.08.17